1. Semantic vesioning 버전 올리는 방법
  2. npx -> 실행하고 바로 실행 하는 것
  3. nodemon -> 자동으로 재실행 시켜주는 모듈
  4. Module.exports 내가 작성한 모듈 내보내는 방법
  5. Event Loop (loupe)를 통해서 자바 스크립트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확인
  6. every -> 모든 조건물을 충족하는지 확인하는 방법
  7. some -> every 와 반대 개념
const arr = [1, 2, 0, -1, -2]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const res = arr.some(key => key < 0)
                    console.log(res)

 

 

  1. find (실제 데이터를 반환) / include (참과 거짓을 반환) 차이점은 메모리의 누수를 막아주기 떄문에 단순히 비교를 하는 용도라면 include를 사용할 것을 권장
  2. forEach
arr.forEach(item => console.log(item))

9. filter 와 map 함수 사용
 -map은 각각의 변수에 조건을 넣어 주고

 - filter는 각각에 맞는 값들만 배열로 생성

const a = [1,2,3]
                    const b = a.map(x => x + 1)
                    console.log(b)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const f = a.filter(x => x > 1)
                    console.log(f)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>>> 결과값
                    [ 2, 3, 4 ]
                    [ 2, 3 ]

 

10. object assign 과 Spread

  음.. Spread가 훨씬 유익한 것 같은데

'use strict'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const obj = {
                        title : 'node.js 올인원 패키지'
    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const newObj = {
                        name : 'node.js 온라인'
    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const ret = Object.assign({}, obj, newObj)
                    //{새로운 객체를 만들고}, 합칠 오브젝트 1, 추가 오브젝트 2
                    console.log(ret)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//객체와 배열 모두 하나로 통합할 수 있다.
                    const ret2 = {
                        ...obj,
                        ...newObj,
    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console.log(ret2)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var arr = [1,2,3]
                    var arr2 = [4,5,6,7,3]
                    const ret_arr = Object.assign({},arr,arr2)
                    console.log(ret_arr)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const res_arr = [
                        ...arr,
                        ...arr2
                    ]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console.log(res_arr)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>>>>{ title: 'node.js 올인원 패키지', name: 'node.js 온라인' }
                    { title: 'node.js 올인원 패키지', name: 'node.js 온라인' }
                    { '0': 4, '1': 5, '2': 6, '3': 7, '4': 3 }
                    [
                      1, 2, 3, 4,
                      5, 6, 7, 3
                    ]

 

 

11. Set

반복되는 데이터를 정제하는 문법

const test= new Set()
                    test.add(1)
                    test.add(2)
                    test.add(1)
                    test.add(2)
                    test.add(3)
                    test.add(2)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console.log(test)
                    const arr = []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for(const item of test){
                        arr.push(item)
    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        console.log(arr)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const ret = test.has(1)
                    console.log(ret)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>>>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Set { 1, 2, 3 }
                    [ 1, 2, 3 ]
                    true

 

 

12. template String

정말 유용한 기능중에 하나 -> 기존에 변수를 추가하여 사용하고 싶을때 사용하는 방법임

const details = `자세한 내용`
                    let str = `node.js`
                    str += `올인원 패키지 ${details}`
                    const int =1
                    str += `${str}의 값은${int}`
                    console.log`입력`
                    

 

13. String

문자열에대한 검사 -> 사실 Java에서는 문자열 검사가 상당히 번거로웠지만, javascript는 기본적으로 다 된다.

let string = 'node.js 올인원 패키지'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let isStartWith = string.startsWith('n')
                    let isIncludes = string.includes('올인원')
                    let isEndWith = string.endsWith('패키지')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const checkIfContainer = () => {
                        if (isEndWith && isStartWith && isEndWith){
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turn true
        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const ret = checkIfContainer()
                    console.log(ret)
                    

 

14. typeof 로 타입을 확인 할 수 있다.

 

15. hoisting : 함수가 나중에 호출되어도 가능하다

 

16. IIFE 즉시 실행함수

익명함수 (function (){} )();

var r = (function(){
                        var lang = 'js';
                        return lang
                    })();
                    console.log(r)

 

17. SetInterval

setInterval(() => {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console.log('hi')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},1000)

 

 

18. try catch

try {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}catch(e){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
 

19. Arrorw function

const add = (var1, var2) => (var1 + var2)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console.log(add(1,2))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const getDiscount = rate => price => rate * price
                    const getTenpercentOff = getDiscount(0.1)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console.log(getTenpercentOff(1000))